이번 글에서는 시놀로지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시놀로지는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체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이용하게 됩니다. 시놀로지는 이러한 부분을 좀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보안 설정 – NAS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법
시놀로지 NAS는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지만, 기본 설정만으로는 완벽한 보안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특히 외부 네트워크에서 NAS에 접근하려면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AS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필수 보안 설정들을 살펴봅시다.
1) 기본 관리자 계정 변경
NAS 설치 후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admin” 계정은 해킹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되므로, 반드시 새 관리자를 생성한 후 기존 admin 계정을 비활성화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다기 보다는 필수로 설정하도록 합니다. 관리하는 계정은 가급적이면 다른 사람이 예상하기 어려운 이름으로 하는 것이 보안에 좋습니다.

설정 방법
- DSM에 로그인 후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로 이동
- 새로운 관리자 계정 생성 후 강력한 비밀번호 설정
- 기존의
admin
계정을 비활성화
2) 이중 인증 (2FA) 활성화
이중 인증을 설정하면 로그인 시 비밀번호 입력 후 스마트폰의 OTP(일회용 비밀번호) 앱을 이용해 추가 인증을 해야 하므로 보안이 대폭 강화됩니다.

설정 방법
- [제어판] → [보안] → [계정] 으로 이동
- 이중 인증 활성화 선택 후 구글 OTP(또는 시놀로지 Secure SignIn) 앱과 연동
3) 방화벽 및 자동 차단 설정
시놀로지 NAS에는 내장 방화벽 기능이 있어 특정 IP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 차단 기능을 활성화하면 반복적으로 잘못된 로그인 시도를 하는 IP를 차단하여 보안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 [제어판] → [보안] → [방화벽] 에서 방화벽 규칙 추가
- [제어판] → [보안] → [계정] → [자동 차단] 에서 잘못된 로그인 시도 차단 설정
4) DSM 포트 변경
기본적으로 NAS의 DSM 웹 인터페이스는 5000번, 500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 포트를 그대로 사용하면 공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에 유리합니다.

설정 방법
- [제어판] → [로그인 포털] → [DSM 설정] 에서 포트 번호 변경
- 예) 5001 → 10443 같은 랜덤한 포트로 변경
2. 원격 접속 설정 – 어디서든 NAS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시놀로지 NAS는 다양한 원격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데, QuickConnect, DDNS, VPN 등을 활용하면 외부에서도 NAS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QuickConnect – 가장 간편한 원격 접속
QuickConnect는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간편한 원격 접속 서비스입니다. 포트 포워딩을 설정할 필요 없이, 인터넷이 연결된 모든 곳에서 NAS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 [제어판] → [외부 엑세스] → [QuickConnect] 로 이동
- QuickConnect ID 생성 (예:
myNAS123
) - 이후
https://quickconnect.to/myNASid
주소로 NAS에 접속 가능
📌 장점: 설정이 매우 쉽고, 별도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 없음
📌 단점: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으며, 보안이 VPN보다 약함
2) DDNS 설정 – 고정 IP 없이 외부 접속하기
DDNS(Dynamic DNS)를 사용하면 고정 IP가 없어도 NAS에 접속할 수 있는 도메인 주소를 제공한다. 시놀로지는 기본적으로 무료 DDNS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 [제어판] → [외부 엑세스] → [DDNS] 로 이동
- 제공업체에서
Synology
선택 후 원하는 호스트 이름 입력 (예:mynas.synology.me
) - DDNS 설정 후
https://mynas.synology.me:포트번호
로 접속 가능
📌 장점: 자체 도메인으로 편리한 접근 가능
📌 단점: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며,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음
3) VPN 서버 – 보안이 중요한 경우
이 방법은 좀 고급기능이다. VPN 에 대해서 아는 사람에게만 해당한다.
VPN을 활용하면 NAS와 외부 기기 간의 보안 터널을 생성하여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

- [패키지 센터] → [VPN Server] 설치
- OpenVPN, PPTP, L2TP 등 원하는 VPN 프로토콜 선택 후 설정
- 외부 장치에서 VPN 클라이언트 앱을 사용해 NAS에 접속
📌 장점: 가장 안전한 원격 접속 방법
📌 단점: 설정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성능이 인터넷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NAS 보안 설정 및 원격 접속 방법을 다뤄봤습니다. NAS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보안을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또한 QuickConnect, DDNS, VPN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게 NAS에 접속할 수 있으니, 조금 어렵더라도 공부하면서 각자의 환경에 맞는 방법을 찾아서 설정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NAS 데이터 자동 백업 및 복원 방법에 대해 다뤄볼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