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NAS 입문자 가이드 – 1편

이번 글을 타겟 독자를 생각하고 작성하는 것이라서 예의있게 작성해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내 기록보관소, 시놀로지 DS423+ 를 소개하는 글을 작성했는데, 이 NAS 라는 것이 좀 알고 있는 사람들은 굳이 필요없는 정보이고,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어려운 분야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글은 쌓여가는 데이터가 많아지는데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초보자 시각으로 작성하려고 노력했습니다. NAS 제품은 시놀로지 DS423+ 를 기준으로 작성될 예정입니다. 알아야할 기본 지식과 활용도가 많기 때문에 시리즈물로 나눠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시놀로지 NAS 입문자를 위한 1편을 시작해보겠습니다.

1. NAS란 무엇인가?

서론에서 얘기했듯이 안전하고 편리한 대용량 저장공간을 필요로 시작하게 되는 첫번째 키워드가 ‘NAS’ 입니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NAS에 접근하여 파일을 저장하거나 읽을 수 있게 해줍니다. NAS의 주요 특징은 바로 중앙 집중식 데이터 관리입니다. 집이나 사무실의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어, 파일 공유, 백업, 미디어 스트리밍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NAS의 주요 용도
  • 파일 백업 및 관리: 모든 기기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HDD 가 동시에 여러개 고장나는 상황이 아니라면 소중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미디어 서버: 비디오, 음악, 사진을 저장하고 여러 기기에서 스트리밍할 수 있습니다. 가족들과 공유하는 용도로 좋습니다.
  • 원격 접근: 카페나 출장 등을 갔을 때, 외부에서 집이나 사무실의 NAS에 접근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시놀로지 NAS 선택 가이드

시놀로지는 NAS 시장에서 매우 인기 있는 브랜드로, 다양한 모델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놀로지 NAS를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 선택

시놀로지는 홈 사용자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NAS 모델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최신 모델로는 DS223+, DS423+, DS923+, DS1821+ 등이 있습니다. 모델 선택 시 고려할 주요 요소는:

  • 용량: 사용하려는 데이터 양에 맞는 하드디스크 용량을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 2베이부터 5베이까지 다양한 베이 수 모델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용량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성능: CPU와 RAM 사양에 따라 성능 차이가 납니다. 고사양 모델은 멀티태스킹 및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합니다.
  • 확장성: 미래에 데이터 용량을 추가할 수 있는 확장성도 중요합니다. 일부 모델은 확장 유닛을 통해 쉽게 용량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이 좀 어려울텐데, 시놀로지 공식 페이지에 가시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 도구가 있으니 그것도 이용해보면 좋습니다. NAS 선택기 링크 :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nas_selector
하드디스크 선택

NAS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NAS 전용 하드디스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시놀로지 NAS에서는 WD RedSeagate IronWolf와 같은 NAS 전용 하드디스크를 추천합니다. 일반적인 PC용 하드디스크는 24시간 운영에 적합하지 않기는 하지만, 가정용으로는 많은 사용이 없으니 용량이 큰 HDD 로 여러개를 설치하고 이중화를 하는 방법도 괜찮습니다. 데이터 이중화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암튼, 저는 처음에 4TB 하나만 설치했었는데, 지금은 4TB 하나 더 설치해서 총 8TB 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중화는 좀 더 나중에 할 생각입니다. 나중에 이중화 글을 작성해야 하니 그때 이중화관련된 경험을 하고 얘기해보겠습니다.

3. 초기 설치 & 기본 설정

시놀로지 NAS의 설치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기본적인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드디스크 설치

NAS를 개봉한 후, 하드디스크를 장착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시놀로지 NAS는 툴 없이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핫스왑 기능을 제공합니다.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장착을 완료한 후, NAS의 전원을 켭니다.

2. DSM 설치

시놀로지 NAS의 운영 체제인 DSM (DiskStation Manager) 을 설치해야 합니다. DSM은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로, NAS의 설정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NAS의 전원을 켜고,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나 스마트폰에서 find.synology.com에 접속합니다.
  2. 시놀로지 웹 페이지에서 DSM 설치 마법사가 자동으로 실행되며, 화면의 안내에 따라 설치를 진행합니다.
  3. 설치가 완료되면 기본 설정을 시작합니다.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설정을 합니다.
시놀로지 운영체제인 DSM 화면
시놀로지 운영체제인 DSM 화면

초기 DSM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 설정

초기 설정이 끝나면 NAS에 접근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설정을 합니다. 가정에서는 QuickConnectDDNS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QuickConnect는 복잡한 포트 포워딩 설정 없이 외부에서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NAS의 기본 개념과 시놀로지 NAS 모델 선택 및 초기 설치 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NAS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 관리 및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도구로, 집이나 사무실에서 파일 공유 및 백업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시놀로지 NAS에서 제공하는 주요 앱과 기능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Leave a Comment